호주 워킹홀리데이 중 병원 이용 방법
호주에서 워킹홀리데이를 하면서 병원(의료 서비스)을 이용하려면 일반의(General Practitioner, GP)와 전문의(Specialist)의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호주의 의료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GP를 통해 1차 진료를 받고, 필요하면 전문의를 소개받는 방식으로 운영됩니다. 워킹홀리데이 비자는 기본적으로 호주의 공공 의료 시스템(메디케어, Medicare) 혜택을 받을 수 없지만, 한국과 호주 간의 의료 협약 덕분에 일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먼저, GP는 한국의 동네 의원(가정의학과, 내과)과 유사한 개념으로, 호주에서 건강 문제가 생겼을 때 가장 먼저 방문해야 하는 의사입니다. GP는 감기, 소화 문제, 피부 질환 등 일반적인 질병 및 건강 상담을 담당하며, 추가 검사가 필요하면 전문의(Specialist)에게 의뢰서(Referral)를 써줍니다. GP를 찾는 방법은 Google 검색 또는 HotDoc, HealthShare 같은 의료 서비스 앱을 이용하여 가까운 GP를 찾을 수 있습니다. 또한 워킹홀리데이 보험회사에서 제공하는 병원 리스트를 활용하는 것도 좋습니다. 방문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부분의 GP는 예약제이며, 전화 또는 온라인을 통해 예약해야 합니다. 호주의 공공 의료보험(Medicare)이 없다면 진료비 약 $50~$100을 직접 부담해야 합니다. 다음으로 전문의(Specialist)는 정 질환을 치료하는 전문적인 의료진(예: 피부과, 정형외과, 내과 전문의 등)을 의미합니다. 호주에서는 GP를 먼저 방문한 후, 전문의의 진료가 필요하다고 판단될 경우 Referral(소개서)을 발급받아야 합니다. 전문의 진료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GP 방문 후 Referral을 받고 전문의를 예약해야 합니다. 전문의는 보통 대기가 길어 몇 주 이상 걸릴 수 있습니다. 메디케어가 없다면 전문의 진료비는 $150~$300 이상으로 높을 수 있습니다.
호주의 응급실(ER) 및 업무 시간 이후 병원 이용 방법
호주에서 응급 상황이 발생하면 응급실(Emergency Room, ER) 또는 24시간 운영되는 의료 서비스를 이용해야 합니다. 하지만 응급실 대기 시간이 길고 비용이 비쌀 수 있기 때문에, 응급실 방문이 꼭 필요한 상황인지 먼저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응급실 이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장 가까운 공립병원 응급실을 Google Maps에서 "Emergency Room near me"를 검색합니다. 공립병원(Public Hospital)의 응급실을 24시간 운영합니다. 도착 후 접수(Triage System)를 합니다. 응급실은 환자의 긴급도에 따라 환자를 우선 배치하는 시스템을 사용합니다. 경미한 증상은 몇 시간 이상 대기할 수도 있습니다. 호주 공립호주 공립병원의 응급실을 이용할 경우, 메디케어가 없으면 $300~$500 이상의 비용이 나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워킹홀리데이 보험이 있다면 일부 비용 환급이 가능합니다. 업무 시간 이후(After Hours) 병원 이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 병원과 GP는 평일 오전 8시~오후 5시에 운영되는 경우가 많으며, 주말에는 문을 닫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야간이나 주말에도 이용할 수 있는 의료 서비스가 있으므로, 응급실에 가지 않고도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먼저, 13SICK - Home Doctor Serivce(야간 방문 진료 서비스)는 오후 6시 이후부터 새벽 8시까지 운영합니다. 의사가 직접 환자의 집이나 숙소로 방문하여 진료하는 방법으로 예약은 전화(13 7425) 또는 웹사이트를 통해 가능합니다. 비용은 $150~$300 수준으로 보험 적용이 가능합니다. 또한 일부 병원은 야간 및 주말에도 운영하며, Google에서 "After Hours GP near me"를 검색하면 가까운 병원을 찾을 수 있습니다.
호주의 약국 이용 방법
호주의 약국(Pharmacy)은 일반 의약품과 처방약을 구매할 수 있는 곳으로, 한국과는 다른 점이 많습니다. 특히 감기약이나 진통제조차도 슈퍼마켓에서 쉽게 구매할 수 없고, 약사의 상담을 거쳐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호주에서 생활하거나 워킹홀리데이를 하면서 약이 필요할 경우, 약국을 적절히 이용하는 방법을 알아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호주의 약국은 크게 지역 약국(Community Pharmacy)과 병원 약국(Hospital Pharmacy)으로 나뉩니다. 지역 약국은 일반적으로 쇼핑센터나 거리에서 쉽게 찾을 수 있으며, 감기약, 소화제, 진통제 등의 일반 의약품을 판매합니다. 처방약도 구매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Prescription)이 필요합니다. 반면, 병원 약국은 대형 병원 내에 있으며, 주로 입원 환자나 외래 환자에게 필요한 약을 조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호주에는 여러 개의 유명한 약국 체인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곳으로는 Chemist Warehouse, Priceline Pharmacy, TerryWhite Chemmart, Amcal Pharmacy 등이 있으며, 이곳에서는 일반 의약품과 처방약뿐만 아니라 건강 보조제, 피부 관리 제품, 의료 기기 등을 판매합니다. 대부분의 약국은 평일 오전 8시부터 오후 6시까지 운영하며, 일부 약국은 늦은 저녁까지 문을 엽니다. 또한, 시드니나 멜버른과 같은 대도시에는 24시간 운영하는 약국도 있어, 야간에도 의약품을 구매할 수 있습니다. 호주에서 약을 구매할 때는 일반 의약품(OTC, Over The Counter)과 처방약(Prescription Medicine)의 차이를 이해해야 합니다. 일반 의약품은 처방전 없이 구매할 수 있으며, 감기약, 소화제, 진통제(파라세타몰), 알레르기약 등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일부 강한 진통제나 기침약은 약사의 상담 후에만 구매할 수 있습니다. 반면, 항생제, 피임약, 항우울제 등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전이 있어야 구매할 수 있으며, 처방전 없이 구입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호주 정부는 Pharmaceutical Benefits Scheme(PBS) 라는 약값 지원 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PBS는 일정한 기준을 충족하는 처방약에 대해 정부가 비용을 보조해 주는 제도이지만, 메디케어(Medicare) 혜택을 받지 못하는 워킹홀리데이 비자 소지자는 대부분 PBS 혜택을 받을 수 없습니다. 대신, 워킹홀리데이 건강보험(OSHC)을 이용하면 일부 비용을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